1지도는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의 동아시아 외교 관계도이다. (가)~(바)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2고구려와 수나라 간의 전쟁에 대한 의 사실 들을 시대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3점)
ㄱ. 수양제의 고구려 공격 ㄴ. 고구려의 요서 지방 공격 ㄷ. 수가 고구려에 군신관계 요구 ㄹ. 청천강에서 수나라 군대의 대패
3지도에서 표현된 전쟁의 결과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연개소문이 권력을 상실했다.
ㄴ. 고구려 원정의 실패로 수가 멸망했다.
ㄷ. 계속된 전쟁으로 고구려가 약화되었다.
ㄹ. 고구려가 당과 동맹을 맺어 수를 견제했다.
4고구려가 당의 침략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한 (가)가 무엇인지 쓰시오. (3점)
5연표에서 (가)~(라)의 시기에 발생했던 사실을 바르게 서술한 것은? (4점)
67세기 후반, 한반도에 아래의 기구들이 설치된 이유는? (3점)
• 안동 도호부 • 계림 도독부 • 웅진 도독부
7다음 글에서 말하는 신라의 삼국 통일이 가지는 한계점은? (3점)
다른 종족을 끌어들여 같은 종족을 멸망시키는 것은 도적을 불러들여 형제를 죽이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이다. (중략) 태종 대왕 김춘추에 이르러 마음과 힘을 다하고 수완을 다하여 마침내 이 일을 이룬 뒤에는 득의양양하였다. 반만큼이라도 혈기를 가진 자라면 이를 욕하고 꾸짖는게 옳으며 배척하는 것이 옳거늘……
-『독사신론』-
8신라의 삼국 통일이 가지는 의의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대동강 이남의 땅을 확보
ㄴ. 우리 민족 문화의 바탕 마련
ㄷ. 당을 물리치고 자주적인 통일 이룩
ㄹ. 모든 민족을 아우르는 민족의 재통일 완성
9아래 남녀의 대화에서 빈 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10통일 이후의 신라가 다음과 같은 토지제도 정비를 실시한 목적은? (4점)
◎ 통일 신라의 토지제도 정비
1) 신문왕 : 관리에게 지급하던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을 지급하였다.
2) 성덕왕 :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
118~9세기의 동아시아 지도에서 (가)~(다) 국가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2다음 글의 주장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사실은?
(3점)
통일 신라는 백제, 고구려의 문화는 물론, 당의 문화까지 융합함으로써 문화의 내용이 더욱 풍부해졌고 하나로 통일된 민족 문화가 발전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13통일 후의 신라가 지도와 같이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한 이유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농민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려 했다.
ㄴ. 수도가 남동쪽에 치우친 점을 보완했다.
ㄷ. 군사적 요충지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했다.
ㄹ. 넓어진 영토를 효율적으로 지배하려 했다.
14다음 글의 주장에 대한 근거로 볼 수 있는 사례는? (3점)
발해의 중앙 정치 기구는 외형상 당의 3성 6부제를 모방한 듯 하지만 그 운영 방식에 있어서는 독자적인 모습을 보였다.
15밑줄 친 사람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4점)
발해국은 고구려의 옛 땅이다. (중략) 그 넓이가 2천리이고 주, 현의 숙소나 역은 없으나 곳곳에 마을이 있는데 모두 말갈의 마을이다. 그 백성은 말갈인이 많고 원주민은 적다. 모두 원주민을 마을의 우두머리로 삼는데, 큰 촌은 도독이라 하고 다음은 자사라 하고 그 아래 백성들이 모두 수령이라 부른다. -『유취국사』-
16밑줄 친 부분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발해의 정신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은? (3점)
17자료들과 공통적으로 관련 있는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활동 영역

▲완도에 설치된 동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