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다음 글에서 ( ㉠ )에 들어갈 딸의 대화 내용으로 옳은 2가지는? (3점)
딸 : 엄마, 오늘 기술가정 수업 시간에 가족의 개념에 대해 배웠는데 헷갈려요. 제가 어렸을 때부터 지금까지 이모도 같이 살고 있는데 이모는 가족이에요? 아니에요?
엄마 : 너는 이모가 가족이라고 생각하니?
딸 : 저는 가족이라 생각하는데, 오늘 책에서 가족은 ‘혼인관계의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이루어진 집단’이라 적혀 있는 것을 보았어요.
엄마 : 과거에는 네가 말한 가족의 개념이 맞지만 최근에는 혼인이나 혈연관계가 아니더라도 애정과 친밀감을 갖고 지속적으로 공동생활을 하는 집단으로 가족의 개념이 확대되었단다.
딸 : 그렇구나. ( ㉠ )
2가족의 기능 중 과거에 비해 그 기능이 약화되지 않은 기능은? (2.5점)
3다음은 어느 가족을 인터뷰한 결과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가족생활 주기의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5점)
4다음은 전통 사회와 현대 사회의 부부의 역할을 나타낸 장면이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전통사회 현대사회


5다음 그래프는 가족원 수 규모 변화와 세대 구성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구원 수 규모 변화>

<가구원 수 규모 변화>


6다음 ㉠~㉥에서 가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끼리 묶인 것은? (3.5점)
㉠ 공동체 가족 : 혈연이나 결혼에 의해 이루어진 가족이다.
㉡ 독신 가족 : 결혼을 하지 않고 혼자 사는 가족과 고령화로 인한 노인 1인 가족 등이 있다.
㉢ 재혼 가족 : 한 집에서 생활하지 않고 떨어져 사는 가족으로, 가족 관계가 약화될 위험이 있다.
㉣ 무자녀 가족 : 자녀 없이 부부만으로 이루어진 가족으로 대표적인 예로 딩크 가족을 들 수 있다.
㉤ 조손 가족 : 맞벌이 부부의 증가, 이혼율의 급상승으로 증가하며, 조부모가 손자 손녀와 함께 사는 가족이다.
㉥ 다문화 가족 :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이루어진 가족이다. 언어 및 문화적 차이, 자녀 양육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7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가장 건강한 가족 가치관을 가진 학생은? (3점)
8다음 중 건강 가정의 요소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2.5점)
9가족의 건강성을 좌우하는 척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2.5점)
10다음 글에 나타난 건강 가족을 만들기 위한 노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일요일이면 나는 항상 늦잠을 잤고, 언니와 내가 중학생이 된 이후 가족끼리 함께 있는 시간과 대화가 줄어들었다. 가족 회의에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가족이 모두 참여하는 텃밭 가꾸기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래서 우리 가족은 주말마다 텃밭 가꾸기를 한다.
막상 일요일 아침이 되면 귀찮기도 하지만 아빠, 엄마, 언니와 함께 뿌린 씨앗에서 채소들이 자라나는 것을 보며 뿌듯함이 느꼈고, 주말에 수확한 고구마를 쪄서 학교에 가져갔을 때 친구들도 맛있다고 부러워하여 기분이 좋았다. 무엇보다 텃밭을 가꾸며 가족과 대화도 많이 나누고 더 친해져 행복했다.
11건강한 가정생활을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3점)
12바람직한 가족 관계의 중요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3다음의 특징을 갖는 가족 관계는? (3점)
- 결혼을 통하여 지속적인 관계를 시작한다.
- 사랑과 존경을 바탕으로 서로 협력하며 열린 대화를 통하여 평등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 가족의 중심이 되며, 어느 한 사람이 일방적으로 지배하거나 희생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14의사소통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그림에서 ㉠에 해당하는 것은? (2.5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