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다음 글과 관련 있는 정치 기구의 명칭을 쓰시오. (4점)
원래 변경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임시기구로 설립되었으나 양난을 거치면서 조직과 기능이 강화되어 일반 행정 업무까지 관장하는 최고 권력기구가 됨
2훈련도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3영조실록의 내용이다. ㉠, ㉡의 의미에 해당하는 역사적 용어는? (4점)
붕당의 폐단이 요즈음보다 심각한 적이 없었다. 처음에는 ㉠예절 문제로 분쟁이 일어나더니 이제는 ㉡한편 사람을 모조리 역당으로 몰아붙이고 있다.
4조선 후기 정치 변동 과정이다. 빈칸에 들어갈 정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 ) 탕평정치 세도정치
현종, 숙종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철종
5 조선 후기 수업을 들은 학생의 필기 내용이다.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르면?
(3점)
1. ( ㉠ )과 개혁 정책
(1) ( ㉡ ) 시기
①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서원 대폭정리,
② 균역법 실시, 신문고 부활
(2) ( ㉢ ) 시기
① 소론과 남인도 정치 참여, (㉣)규장각 설치
② 서얼과 노비 차별 완화, 금난전권 폐지
< 보 기 >
가. ( ㉠ )에 들어갈 내용은 ‘탕평책’이다.
나. ( ㉡ )은 숙종, ( ㉢ )은 영조이다.
다. ( ㉡ ), ( ㉢ ) 대는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하였다.
라. ( ㉣ )은 개혁세력 육성을 위해 설치한 것 이었다.
6㉠~㉤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4점)
정조의 아버지 ( ㉠ )은/는 세자의 자리에 올랐으나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음을 당했다. 정조는 즉위 이후 아버지의 무덤을 수원으로 옮기면서 ( ㉡ )을/를 계획하였다. 그는 ( ㉡ ) 건설을 세워 이를 기반으로 강력한 왕도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정조는 여러 학자들을 참여시켜 ( ㉡ )을/를 설계하였으며, 건설 과정에 정약용이 제작한 ( ㉢ )을/를 사용하여 인력과 공사 기간을 줄였다. 또한 전국의 ( ㉣ )들을 불러 모아 ( ㉡ )이/가 상업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 ㉡ )은/는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구조를 인정받아 ( ㉤ ) 세계 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7제시된 사진과 글을 읽고, ( )안에 이어질 내용을 서술하시오. (4점)

왼쪽의 비석은 영조가 세운 탕평비의 모습이다. 비석에는 “두루 사귀고 치우치지 않는 것은 군자의 공평한 마음이요, 치우쳐서 두루 사귀지 못하는 것은 소인의 사사로운 마음이다”라고 새겨져 있다. 영조가 이 비석을 세운 이유는 ( )

8다음 내용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주제로 옳은 것은? (3점)
• 모내기법이 확산되며 경작지 규모가 확대되었다.
• 벼와 가을보리를 번갈아 심는 이모작이 늘어났다.
• 목화, 담배, 약초 등의 상품 작물의 재배가 유행했다.
9조선 후기 사회의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옳지 못한 것은? (4점)
10조선 후기 사회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표이다. (가)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1(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적으시오. (4점)
왜란과 호란을 겪으면서 조선의 사회 질서는 크게 변하였다. 그러나 지배층들은 아직도 이론 중심의 성리학에 매달려 현실 문제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17세기에 들어와 일부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현실생활과 직결된 문제를 탐구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새로운 학문 경향을 ( )이라고 한다.
12밑줄 친 ㉠,㉡,㉢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3점)
㉠ 등에 의해 시작된 실학은 ㉡중농학파, ㉢중상학파, 국학 연구 등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 청에서 전해진 고증학과 서양 과학의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13조선 후기 농업 중심의 개혁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ㄱ. 토지 제도의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ㄴ. 수레, 배, 화폐의 활용을 중시하였다.
ㄷ. 유형원, 이익, 정약용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ㄹ. 재물을 우물에 비유하며 소비를 권장하였다.
14역사인물 사전의 내용이다. 잘못된 곳을 찾으면?
(3점)

(1762~1836)
① 호는 다산
② 과거 급제 후 정조와 개혁정치 실시
③ 암행어사로 농촌 실상을
왕에게 알림
④ 중상학파로 화폐사용 강조
⑤ 천주교를 믿었다는 이유로 전라도 강진으로 유배




